메뉴 건너뛰기

뉴스

사회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공청회 개최

친일잔재 142건…단죄비 설치, 공간재활용 등 처리 기준 분류 제시

황의선( icomn@icomn.net) 2020.11.03 20:45

전북대산학협력단과 전라북도는 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전문가와 시군 및 관련기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공청회를 열였다.

5-1. (사진)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공청회 개최.jpg

이날 공청회에서 윤상원 책임연구원은 그동안 용역을 통해 추진한 친일잔재 조사 및 처리방안, 향후과제를 발표했다.

 

친일인명사전을 토대로 조사한 도내 친일인물은 119명이며, 친일잔재는 김해강 시비 등 142건에 이르며 친일잔재 처리기준은 청산대상, 이전활용, 단죄비 및 안내판 설치, 시설 및 공간재활용, 교육적 활용 등으로 크게 분류했다.

 

또한 향후과제로 단기과제는 지명 및 도로명 등 무형의 친일잔재 조사, 친일잔재 교육 콘텐츠 제작, 식민지역사교육관 등 설립 타당성 검토, 전라북도 다크 투어리즘 루트를 개발하고 중기과제는 청산대상 친일잔재 교체·철폐 및 단죄비·안내문 설치, 식민지 유제의 공간 재활용, 친일잔재의 지속적 교육을 제시했다.

 

마지막 장기과제는 식민지역사공원과 식민지역사교육관을 설립하고 친일과 독립운동을 함께 전시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전문가 토론에서 김원용 전북일보 논설위원은 “용역결과에서 제시한 친일잔재 처리방안의 실행을 위해 시군과 함께 범 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조직과 예산 지원,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면서 “친일잔재 청산과 더불어 독립운동가의 삶과 독립운동의 역사공간들을 재조명하는 데도 계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김윤희 전주대 교수는 “식민통치와 관련된 시설물은 청산해야 할 잔재보다는 기억해야 할 역사유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친일과 친일행위에 대한 실질조사와 함께 사회적 합의를 위한 학문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재호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장은 “전북은 일제강점기에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경제적 억압과 수탈이 극심했던 지역으로 아픈 역사를 치유하고 무너진 공동체를 복원하는데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앞장서야 한다”면서 “일제강점기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와 일제강점기 역사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훈 행정부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그동안 지역차원의 친일잔재 청산은 통일된 기준이 없이 산발적으로 진행해왔다”면서 “용역결과를 토대로 도와 시군이 함께 도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친일잔재 청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라북도는 전라북도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연구용역을 올해 3월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이날 공청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11월 중 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