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

전주시의 대표적인 성매매 집결지 ‘선미촌’을 인권과 예술의 거리로 조성하겠다는 전주시의 계획이 올해 발표된 가운데, 이와 관련한 집담회가 열렸다.

크기변환_DSC00649.JPG

 

전주 선미촌정비민관협의회는 7일 오후 ‘기억과 경험의 전이를 통한 선미촌 재구성’이라는 주제의 집담회를 열었다. 민관협의회는 전주시와 경찰, 노송동 주민, 여성시민사회단체 등 민관의 다양한 관계자들이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성매매 집결지 선미촌의 도시재생을 고민하는 협의체다.

이번 집담회에서는 전주시가 개최한 <2016 도시재생 사업 발굴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우수 공모안으로 선정된 ‘선미촌 주변 도로 및 폐공가 정비 활용 방안’을 제안한 허나윤 기억발전연구소 연구원이 발표를 맡았다.

“성매매 집결지에서 일상의 삶이 존재하는 대안적 마을공동체로”

허나윤 연구원은 “성매매 집결지는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빨리 없어져야 하는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용산을 보더라도 집결지는 주차장으로 변했고 그 일대의 모든 기억과 삶의 흔적을 없어졌다. 한국식 산업화의 첨병이라고 볼 수 있는 아파트가 생기는 것으로 개발은 끝이 났다”고 말했다.

그러나 허 연구원은 “선미촌은 오랫동안 일상생활의 공간과 분리된 성매매 집결지로 존재해왔으며, 성매매업소가 폐쇄된다고 하더라도 집결지라는 장소에 대한 기억과 낙인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선미촌은 단순히 없어져야 할 공간이 아니라 한국의 성매매 현장을 역사적으로 경험하고 그 속에서 발생한 인권유린과 사회적 차별을 성찰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크기변환_DSC00650.JPG

 

허 연구원은 “선미촌 집결지가 폐쇄되었을 때 그 곳의 역사성도 함께 사라져야 할 것인지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면서 “선미촌 집결지 안에서 벌어진 사회적 차별과 인권유린을 기억해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괜찮다고 할 것이 아니라 기억하는 방식으로 치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 점에서 허 연구원은 선미촌 도시 재생에서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 집결지에 대한 기억과 기록을 재구성한 ‘기억의 거리’ 조성이라고 말했다. 선미촌 및 주변 지역의 시대별 변천 모습과 여성들의 삶을 담을 기록과 자료를 전시하고 나아가 한국사회에서 집결지의 역사성을 보여줄 수 있는 ‘집결지 아카이빙 전시관’을 제안했다.

또한, 여성주의 시작으로 젠더와 여성폭력, 차별, 가부장제 등을 다룬 작품들을 전시할 수 있는 ‘페미니스트 갤러리’와 국내외 여성한 도서와 잡지, 영상물을 판매하는 ‘페미니스트 서점’도 제안했다.

선미촌 집결지가 여성을 착취를 통한 경제 활동이 이뤄진 공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지역 공동체가 함께하는 대안적 경제 활동이 이뤄지는 공간으로의 재구성도 제안했다. 이에 폐가 매입부지에 지역주민을 위한 소셜비즈니스 센터를 설립하여, 마을식당과 마을어린이방, 마을두레, 코워킹 스페이스 등의 운영을 제안했다.

허 연구원은 “지역민이 참여하면서 마을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성매매 경험 여성들의 주거권을 보장할 수 있는 공공주택 등을 마련하여 일상이 존재하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전주시는 선미촌의 기능 전환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7년간 총 67억을 들여 문화재생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주시는 연말까지 예술가들의 선미촌 내 공간에 대한 기록 탐색과 여성인권과 성매매, 여자 등을 주제로 한 기획 전시, 생활창작공간 체험활동 등을 진행하고 오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2단계 사업과 3단계 정주형 예술창작공간화 작업을 거쳐 선미촌을 인권과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 시킬 계획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