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

 

방폐장 유치 찬성했던 군민들도 “그 때 물리치기 정말 잘했다”
방폐장 찬성했던 주민들도 반대입장으로 선회

 

일본에서 일어난 대지진으로 인해 원전사태가 발생하자 지난 2004년~2005년 부안에서 일어났던 방폐장 반대운동이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당시 방폐장유치를 찬성했던 많은 부안주민들이 대부분 반대 입장에 동조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일본원전사태로 지난 7일 방사능 비가 부안에도 쏟아진다는 언론보도가 나오자 주민들은 불안감과 함께 ‘만일 부안에 핵폐기장이 있었더라면 더 큰 재앙이 발생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감에 휩싸여 있다.

 

부안읍에 사는 주민 채 아무개(45. 상업)씨는 “방폐장으로 인해 지역이 발전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주장이 한때 힘을 얻었으나 이번 일본원전사태로 완전히 역전이 된 상황”이라며 “만일 그 때 방폐장이 부안에 유치됐으면 주민들은 더욱 큰 불안감에 휩싸여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찬핵 입장이었던 김 아무개(60. 위도면)씨도 후회의 빛이 역력한 모습이다.

 

김씨는 “지난 선거에서도 확인됐듯이 일부 주민들이 방폐장 유치에 희망을 거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제는 생존권의 문제로 전환된 것 같다”면서 “핵폐기장의 ‘핵’이라는 말만 들어도 불안감이 엄습해 온다”고 언급했다.

 

이와 같이 방폐장 유치에 희망을 걸었던 많은 주민들 외에 전주와 서울에 사는 향우들도 방폐장 유치를 바라보는 시각이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사는 허 아무개 향우(50. 자영업)는 “방폐장을 찬성했던 사람들의 논리는 경제논리에 불과했었는데 이제는 그 차원이 아닌 생존의 논리가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라며 “그 당시 부안주민들이 일궈낸 투쟁의 결실이 너무 값지게만 느껴진다”고 강조했다.

 

전주에 사는 임 아무개(49. 상업)씨도 “전주에서는 한때 방폐장 유치를 반대하는 부안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번 일본원전사태를 보고 정부의 방폐장 유치를 물리친 부안사람들의 선견지명에 감탄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2004년 7월 8일. 부안 핵폐기장 백지화 부안투쟁 1년 기념 군민대회 사진 [출처= 참소리 자료사진]

 

경주시민들은 시설안정성 논란에 불안감 증폭...지역갈등 확산

경주는 본사이전지역 놓고 분열...안전성 논란도 확산

 

이러한 부안의 분위기와는 달리 방폐장을 유치한 경주시는 지역갈등과 지역민들의 분열양상이 더욱 확대되는 양상이다.

 

경주시가 방폐장을 유치한 지 6년이 다 되어가고 있지만 지역발전이 이루어졌다는 느낌을 가질 수 없다고 시민들은 입을 모은다.

 

오히려 방폐장 시설과 유치 인센티브를 놓고 정부와 지자체, 지자체와 주민, 주민과 주민, 환경단체와 정부 사이의 갈등의 골만 깊어가고 있다.

 

특히 지원금 전체규모인 3천억원의 사용처를 놓고 지자체와 시의회, 주민사이의 의견도 엇갈렸다.

 

필요한 곳에 먼저 사용하자는 쪽과 경주미래를 위해 신중하게 쓰자는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방폐장 유치 인센티브로 얻은 2014년 한수원 본사이전도 지역 구성원들을 분열시켰다.

 

한수원 본사입지는 지난 2006년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일원에 15만 7천 여 제곱미터를 선정했으나 선거가 불어 닥칠 때마다 입지변경안이 거론되면서 주민들의 갈등을 부추기는 모습이다.

 

이와 함께 방폐장 안전성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정부와 한수원이 방폐장의 안전성을 끊임없이 홍보하고 있지만 환경단체들은 지반이 약한 방폐장의 지하침출수로 인해 방사성 폐기물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계속 경고하고 있다.

 

결국 이와 같이 방폐장 유치와 관련된 양 시군의 입장이 극명하게 바뀌면서 방폐장과 국내외 원전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절실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기사제휴[부안독립신문]>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