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

평화유랑단 ‘평화바람’이 강을 만나는 자리에 함께했다. 한 달에 한 번, 그렇게 4대강을 만나려는 평화바람과 그 친구들이 첫 번째로 선택한 곳은 내성천에 뿌리내린 영주시 평은면 금강마을 일대였다. 이곳은 최근 영주댐이 생기면서 수몰이 예정되어 있다.

 

 

홍수를 막고, 낙동강에 맑고 깨끗한 내성천 물을 흘려보내기 위해 만든다는 영주댐. 낙동강을 살리고 홍수를 막기 위해 다른 것을 파괴해야 하는 역설이 지배하는 상황에서도 내성천은 유유히 흐르고 있었다.

 

“내성천을 사행천이라고 부른다. 뱀이 꼭 굽이굽이 움직이는 모양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강이 흐르다가 절벽을 만나거나, 산을 만나게 되면 휘돌아 흐르기 때문에 내성천은 골곡도 많고 아름답다.”

 

우리를 안내한 박용훈 선생은 내성천이 순리대로 흐른다고 강조했다. 수 조경의 바닷생명들이 살아 숨 쉬는 갯벌을 뒤덮고, 더 빠른 도로를 만든다는 이름으로 산을 뚫는 개발자본주의가 판치는 이 땅에서 내성천은 자연의 순리를 따르며 흐르고 있었다.

 

“작년 봄에 미국의 버클리 대학의 교수가 내성천 하류 회룡포 즈음에서 모래를 만지며 감탄을 한 적이 있다. 그는 내성천 모래를 계속 들었다 놨다 하면서 감동을 했는데, 나중에 이야기하더라. 내 평생 미국의 모든 강을 다녀봤지만, 이런 아름다운 모래를 가진 강은 딱 한 번 봤다고”

 

일본의 습지 전문가들도 지난겨울, 이곳을 찾았다고 한다. 그들은 내성천을 거닐다가 한 곳에서 30분간 기도를 했다고 한다. 내성천을 찾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내성천의 아름다움에 빠진다. 인터넷으로 내성천을 검색해도 마찬가지다. 많은 이들이 내성천을 있는 그대로 흐르게 둬야 한다고 말한다. 그것은 자연 그대로의 날것, 혹은 인간과 자연이 서로의 영역을 존중하며 살아왔던 그 시간을 간직한 내성천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또 도시화 된 삶 속에서 자연 그대로를 그리워하는 당연한 마음 때문일 것이다.

 

“모래가 흘러가는 것이 보인다. 그리고 모래는 강의 움직임에 따라 한번은 왼쪽으로 물길을 터주기도 하고, 한번은 오른쪽으로 물길을 터주기도 한다. 그렇게 강의 변화를 이끌면서 물이 고여 있지 않게 해준다.”

 

내성천의 가장 큰 특징은 풍부한 모래다. 낙동강 모래의 절반 이상을 내성천이 공급한다. 그러나 정부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모래가 원인이 되어 홍수가 나고, 그 홍수를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의 변화를 이끄는 모래는 오히려 그 홍수를 조절하고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절벽, 돌, 댐. 이 모두 물을 막는다. 그러나 모래는 물을 만나면 자기 자리를 양보한다. 가뭄 때는 모래 특유의 물을 함유하는 성질 때문에 모래가 가지고 있던 물을 슬슬 내보낸다.

 

 

“모래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 물을 많이 저장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강에게 있어서 모래는 자연적인 조절장치와 같다. 그런데 이런 기능에 대해서는 제대로 보지 않고 무조건 모래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리고 100년 전 이곳과 지금을 비교하니 오히려 지금이 모래가 더 적다.”

 

산업화가 오기 전, 내성천은 지금보다 더 많은 모래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많은 모래와 내성천의 굴곡은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삶이 직선이지 않듯이, 자연도 마찬가지로 직선일 리 없다. 조상들은 그 강이 휘도는 부분은 구곡이라 부르고 저마다 이름을 붙여줬다. 금탄구곡, 운포구곡 등 산과 마을을 끼고 도는 부분마다 조상들이 붙인 이름과 그 절경을 보면 과연 이 내성천에 댐이 필요한지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홍수가 나쁘다는 것은 강을 지배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홍수가 나쁘다는 인식이 퍼진 것은 산업화부터다. 원래 강 근처에 농사를 많이 지었다. 홍수가 나면 상류에 있는 영양분이 풍부한 토양을 몰고 와서 강에 뿌려준다. 그러나 산업화를 하고 나서 사람들은 강에서 같이 산다는 마음이 아니라 강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강이 갖고 있던 영역을 사람들이 들어온다.”

 

강 유역에는 범람원과 홍수터라는 곳이 있다. 조상들은 예로부터 이곳에 집을 짓지 않았다. 이곳은 한 번씩 물이 넘치는 곳이라 조상들은 이곳을 강의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개발이익에 눈이 먼 사람들은 이 공간을 강으로부터 빼앗았다. 자연히 강의 공간을 좁히니 강은 크게 범람하게 된다. 그리고 범람원을 개발한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준다.

 

“그곳을 인간의 것으로 생각하니 더 제방을 쌓는다. 댐도 마찬가지다. 외국에서는 이런 공간을 강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두자는 생각이 퍼져서 사람과 강의 완충지대로 설정하고 강에게 이곳을 돌려준다. 강을 개발하고 댐을 짓는 것이 강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것이 강을 관리하는 것이다.”

 

홍수는 강이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해준다. 강이 회복하는 것은 홍수와 같은 자연적인 현상이 있어야 가능하다. 안동댐이 생기면서 그 하류는 큰 홍수가 나지 않아 강의 육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에게 유명한 구담습지도 풀과 나무가 자라면서 생겨난 습지이다. 그러나 이 습지는 오랜 기간 강의 복원력에 의해 습지화가 돼 보존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4대강 사업은 이런 습지마저 파괴하고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