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

전라북도가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 결국 한전을 포기하고 대형기관으로 토지공사 유치에 힘을 쏟는 한편 지역특성화 전략에 맞춰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전라북도는 한전본사와 2개의 기관만을 유치했을 경우, 세수증대 효과와 연관 산업의 파급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게 표면적으로 한전 포기 이유이다.

하지만 이는 방폐장과 연계한 대규모 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것에만 촉각을 곤두세워 온 결과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간 전라북도는 방폐장 유치와 한전 연계에 무게 중심을 주면서 한전 유치에 노력해왔고, ‘한전+2’ 정부안이 최종 결정되는 과정에서 한전 유치를 추진했던 것을 일거에 뒤엎는 결과가 된 꼴이다. 한마디로 전북도가 최대규모 유치 경쟁에만 뛰어 들었지, 지역발전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방안 모색 등 전략적 부재가 드러난 셈이다.

늦게나마 전라북도는 지역산업과 연관된 농업생명 관련 기관 유치와 신재생 에너지 분야를 지역 성장동력 산업으로 추진, 에너지 관련 기관에 심혈을 기울이는 쪽으로 중심축을 옮겨가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공공기관의 대어 중 하나인 토공의 전북 유치를 염두하고 있는 모습이다. 일단 규모에 있어 빅4에 해당하고 전북도의 낙후도를 감안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새만금 내부개발과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하다.

현재 전라북도는 15개 이상의 기관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중 새만금간척사업 때문에 농업기반공사는 전북도에 배정될 가능성 매우 높은 반면 토공의 경우 전남과 강원도와의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의 이같은 움직임에 발맞춰 전주시는 김제시와 함께 혁신도시 건설을 위해 유치 관련기관을 방문, 이전 노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25일 정부가 177개 이전대상 공공기관 명단을 발표했지만 지방이전 대상지 발표를 놓고 연기가 거듭돼 정책 불신을 부추기고 있는 양상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