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새만금 상시해수유통 서둘러라"
고창 어민들 어업 중단할 정도의 해파리 문제, 새만금 방조제 외측 어민도 피해
해양 생태계 파괴자라고 불리는 해파리들이 새만금 내외역 등 전역에 극성을 부리면서 어업활동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해파리들은 기온이 오르면 생장이 빨라지는 것은 물론 개체수도 기하급수적으로 급격히 늘어나 어획량 감소는 물론 상품성도 하락해 어민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5일 새만금상시해수유통전북도민운동본부에 따르면 고창의 어민들은 조업을 중단해야 되는 상황이 됐다. 조업 그물에 줄줄이 올라오는 해파리떼로 조업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비단 고창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미 새만금 방조제 외측의 다수 어민들이 겪고 있는 문제다. 해파리떼는 새만금 방조제 내에서 해파리가 대량 서식하다 배수갑문이 열리는 시점에 방조제 외측으로 쏟아져 나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해파리 폴립이 다량으로 발견된 것은 2009년 가을이다. 국립과학수산원에 따르면 2009년 9월부터 새만금 내·외측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및 부유생물(에피라)을 조사한 결과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폴립 23억6000만개체와 성체 출현량 최대 472억개체/만㎡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010년부터 전북도와 군산, 김제, 부안 등 지자체는 해양환경관리공단과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새만금 방조제 내 해파리 폴립 제거를 위해 예산을 투입했다. 그러나 피해 지역과 규모는 여전히 막대한 상황이다.
부안군은 해파리는 어구 손상, 혼획으로 인한 수산물 품질 저하, 발전소 취수구 막힘, 해수욕객 쏘임 사고 등 다양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는 연간 약 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올 해 역시 다르지 않다. 전북특별자치도 해양수산부와 국립수산과학원은 6월 3일 도내 해역 전역에 보름달물해파리 주의 특보를 발령했다. 해파리 주의단계 발령기준은 보름달물해파리 성체 기준 5마리/100㎡이여, 국립수산과학원과 전북특별자치도에서 5월 30(목)까지 예찰을 진행한 결과, 전북 격포항에서 100㎡당 최대 50마리 이상 보름달물해파리가 관찰됨에 따라 주의 특보를 발령하였다. 보름달물해파리는 독성은 약하지만 대량으로 발생하면 어업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최근 기후 변화로 발생 시기가 빨라지고 있지만 새만금 방조제 내측 상황도 영향을 준다고 밖에 할 수 없다. 보름달물해파리는 해류가 일정한 바다의 낮은 염도의 물에서 주로 서식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상시해수유통이 되지 않고 성층화 현상이 나타나는 새만금 방조제 내측이 해파리 폴립의 최적지가 된 상황이다.
새만금상시해수유통전북도민운동본부 관계자는 “지자체마다 2010년부터 올해까지 매해 많은 세금을 사영해 새만금 방조제 내 해파리 폴립 제거를 해왔지만 10여 년이 지나도 속수무책이다. 게다가 피해 지역도 확산되어 고창 어민들은 최근 3~4년 전부터 해파리가 더 극성이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해 왔다”면서 “전북자치도와 정부는 해파리 양식장이 되어버린 새만금호의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그 해결의 단초는 새만금 상시해수유통을 통해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