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피니언

『초한지』의 민심

중국 역사 변곡점을 살피며 민심 동향을 짐작

관리자( icomn@icomn.net) 2021.09.23 11:19

『초한지』의 민심

김영문

 

『초한지(楚漢志)』(원제 『서한연의西漢演義』)를 읽다 보면 몇 가지 흥미로운 대목에 눈길이 간다. 우선 사람들은 초나라 항우(項羽)와 한나라 유방(劉邦)이라는 캐릭터에 관심을 기울인다. 항우는 무거운 솥을 가볍게 들어 올릴 정도로 강한 용력을 지닌, 그야말로 일당백의 무예 고수였다. 그의 조부 항연(項燕)은 초나라 마지막 임금 창평군(昌平君)을 옹립하고, 진(秦)나라의 침략에 항거하다 자결했고, 그의 숙부 항량(項梁)은 회계(會稽)에서 의병을 일으며 초나라 재건을 도모하다 역시 진나라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인물 좋고, 무예도 뛰어나고, 집안까지 명문이었으니 항우는 그야말로 초·한 쟁패 시대의 금수저였던 셈이다.

항우에 비해서 유방은 가난하고 보잘것없는 보통 백성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심지어 그와 그의 가족을 살펴보면 본래 정식 이름조차 없던 평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유방의 부친은 나중에 태공(太公)으로 존칭되지만, 역사에 정식 이름이 기록되지 않았고, 그의 모친 유온(劉媼)도 이름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유온은 성(姓)을 몰라서 남편의 성인 유씨(劉氏)를 그대로 썼을 뿐이며, 이름으로 알려진 온(媼)도 사실은 ‘아주머니’나 ‘할머니’를 뜻하는 보통명사였다. 유방의 본명으로 알려진 유계(劉季)의 ‘계(季)’도 형제 중에서 막내를 뜻하며, 유방의 큰형 유백(劉伯), 둘째 형 유중(劉仲)도 모두 맞이를 나타내는 ‘백(伯)’과 둘째를 나타내는 ‘중(仲)’을 이름처럼 써놓았을 뿐이다.

또 흥미로운 것은 유방의 모친이 큰 연못 가에서 잠을 자다가 용과 교접하여 유방을 낳았다는 전설이다. 한 고조 유방의 보잘것없는 가문을 신격화하기 위해 윤색한 것으로 보이는 이 전설은 기실 역설적으로 유방이 사생아일 가능성을 알려주는 증거일 수도 있다. 이처럼 흙수저 집안에서 태어난 유방은 어려서부터 건달패와 어울리며 협객을 자처했지만, 결혼 전에 이미 다른 집안의 첩실 조씨(曹氏)와 사통하여 서자 유비(劉肥)를 낳았고, 생업도 없이 형수에게 얹혀살며 구박을 받다가 34세 무렵 겨우 인근의 사수정장(泗水亭長)이란 미관말직에 취직한다. 이런저런 기록을 살펴보면 유방은 항우에 도저히 미칠 수 없는 한미한 가문 출신이고, 무예도 보잘것없었으며, 윤리적으로도 내세울 것이 없는 말류 협객이었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이처럼 출발점에서 천양지차를 보이는 항우와 유방이 종착점에서는 왜 정반대의 위치에 서게 되었을까? 지금까지 알려진 원인은 항우가 자신의 뛰어난 능력만 과신하다가 노련한 모사 범증(范增) 한 사람조차 포용하지 못한 반면에, 유방은 소하(蕭何), 장량(張良), 한신(韓信) 등 수많은 인재를 받아들이고 그들의 의견을 겸허히 채택하여 정확한 용병술을 구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초한지』의 전개가 이것에 불과하다면 동서양 역사에 흔히 등장하는 영웅 이야기로 그쳤을지도 모른다. 물론 고난을 극복하고 해피엔딩으로 막을 내리는 영웅 서사는 그 자체로 흥미로운 스토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천하를 통일하여 나라를 세우는 일은 단순히 개인의 포용력과 친화력으로만 달성할 수 없다. 항우의 숙부 항량이 반진(反秦) 깃발을 내걸고 천하의 영웅들을 포용할 때, 항량의 모사 범증은 광대한 초나라 민중의 마음을 얻기 위해 초 왕실의 후손을 찾아 왕으로 옹립하라고 간언한다. 항량은 범증의 건의를 받아들여, 스스로 왕이 되는 대신, 초나라 왕실의 후손 미심(羋心)을 찾아 회왕(懷王)으로 추대한다. 이로써 천하의 민심은 개인의 욕망보다 대의의 기치를 내건 항량의 초나라에 쏠린다. 범증은 민심 획들을 새 정권 수립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고 있었던 셈이다.

항량 사후 초나라의 정권을 장악한 항우는 이와 사뭇 다른 길을 걷는다. 그는 자신의 조부 항연과 자신의 숙부 항량이 진나라와 싸우다가 목숨을 잃었음을 잊지 않고 자신에게 항복한 진나라 장수 장함(章邯)의 병졸 수십만 명을 생매장해 죽였으며, 진나라 도성 함양(咸陽)을 점령한 후에는 진왕 자영(子嬰)을 살해하고, 아방궁을 방화하고, 진시황릉을 도굴하고, 함양의 백성을 학살한다. 이는 사사로운 원한으로 천하 대의를 대체한 행동이다. 그리고 결국 자신의 집안에서 옹립하여 널리 민심을 얻은 초 회왕을 살해하고 스스로 서초패왕에 등극함으로써 자신의 군사 봉기가 개인의 욕망 달성에 불과했음을 천하에 드러낸다.

유방의 역정은 이와 다르다. 그는 장량(張良)을 군사(軍師)로 받아들여 진(秦)나라 도성 함양을 점령한 뒤 군사들에게 약탈을 금하고 백성에게 약법삼장(約法三章)을 시행하여 진나라의 번잡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한다. 이때부터 진나라 도성의 민심을 얻은 유방은 진나라 백성과 군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장차 천하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반을 마련한다. 실제로 이후 한나라 군대의 핵심 역량은 진나라 군대로부터 왔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더욱 관건적인 것은 유방이 당시 민간의 은자(隱者)였던 동삼공(董三公)의 아주 중요한 건의를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동삼공은 유방이 관중(關中)을 수복하고 낙양(洛陽)까지 진군해오자 그의 수레 앞에 엎드려 “전군에 소복을 입게 하여 원통하게 시해된 초 회왕을 조문하십시오.”라고 간절하게 간언을 올린다. 이 간언은 얼핏보면 천하 백성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정치적 퍼포먼스에 불과한 듯 보이지만, 기실 이 간언의 내면에는 초·한 전쟁의 성격을 질적으로 전환케 한 중요한 내용이 숨어 있다.

첫째, 한나라 군사들이 초 회왕을 조문하기 위해 소복을 입음으로써, 초 회왕의 죽음을 슬퍼하던 초나라 백성의 민심과 천하의 민심을 얻는데 성공했고, 이로써 항우는 불의하게 자신의 임금을 시해한 역적이라는 낙인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었다. 둘째, 이제까지 자신의 주군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각자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싸우던 유방과 항우 집단의 사적(私的) 다툼이 천하 대의의 공적(公的) 실현이라는 선명한 목표를 지향하게 되었다. 셋째, 대의와 불의의 대결이라는 당시 이데올로기 싸움에서 유방은 수많은 패배에도 불구하고 대의의 명분을 장악함으로써 천하 여론의 장기적인 지지를 끌어낼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소복이 약자의 슬픔, 고난 극복, 불의에 대한 저항, 사리사욕 배제 등의 요소를 내면화함으로써 화합과 단결의 구심점으로 작용했다.

대권 최종 후보 선출을 위한 여·야의 행진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런 시기에 초·한 쟁패라는 중국 역사의 변곡점을 살피며, 민심의 동향을 짐작해보는 것도 전혀 의미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누가 양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파는지? 누가 기린의 탈을 덮어쓰고 마각(馬脚)을 드러내는지? 눈 부릅뜨고 지켜볼 일이다.

위로